All Issue

2022 Vol.38, Issue 2

Research Article

31 August 2022. pp. 127-142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ㅡ/ and /ㅓ/ of the difference rate and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 in acoustic phonetics and articulation of Daegu dialect speakers. Daegu dialect speakers of the younger generation can distinguish between /ㅡ/ and /ㅓ/, while the older generation does not. Although it is the same dialect, it has a different vowel system for generation. So /ㅡ/ and /ㅓ/ perception and articulation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Daegu dialect speakers. In the perceptual experiment, meaningless words were carried out, and in the articulation experiment, the free talking experiment was carried out. The analysis focused on the Formants (F1, F2), and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elderly generation was not good at perception and articulation of /ㅡ/ and /ㅓ/. However, the younger generation was good at perception and articulation of /ㅡ/ and /ㅓ/. Therefore, it can be confirmed that Daegu dialect elderly speakers do not distinguish phonemes and show neutralization of /ㅡ/ and /ㅓ/, while younger generations make different /ㅡ/ and /ㅓ/.
References
  1. 고도흥 외. 1999. 음성언어의 이해(수정판). 서울: 한신문화사.
  2. 고동호. 2008. 제주 방언 ‘ㆍ’의 세대별 변화 양상. 한국언어문학, 65, 55-74.
  3. 권경근. 2001. 현대국어에서의 모음체계 변화의 움직임에 대하여: 젊은 세대의 말을 대상으로. 언어학, 30, 29-48.
  4. 김무식. 1997. 한국어 모음의 음성학적 특징과 교육. 언어연구, 1, 1-21.
  5. 김민자. 1982. 현대 한국어 /1/ 모음에 관한 음성학적 연구. 말소리, 5, 29-38.
  6. 김영송. 1963. 경남방언:음운. 마산: 경상남도지.
  7. 김영태. 1975. 경상남도방언 연구(1). 서울: 진명문화사.
  8. 김원보. 2006. 제주방언화자의 세대별(20대, 50대, 70대) 단모음의 음향분석과 모음체계. 언어과학회, 39, 125-136.
  9. 김정대. 2009. 방언의 수집과 전사에 대하여: ‘지역어 조사 사업’의 경험을 바탕으로. 배달말, 45, 1-41.
  10. 김정수. 1998. 서울 토박이말의 홀소리 조직에 대한 조사 연구. 서울학 연구, 10, 271-288.
  11. 김차균. 1966. 경남 창원방언의 음운 체계.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2. 박주경. 1987. 현대 한국어의 장단음에 관한 연구. 말소리, 11, 121-131.
  13. 박종덕. 2000. 안동 서후 지역어 음운 연구.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14. 박종덕. 2005. 경상도 방언의 모음체계 변천사. 서울: 박이정.
  15. 박종덕. 2011. 한국어 형성에서 신라어 기반 가설에 관한 담론 재고. 동아시아고대학, 25, 1-30.
  16. 박지윤. 2011. 서울 지역 세대 간 /ㅔ/와 /ㅐ/ 모음의 포먼트 측정 : 조음음성학적 특징과 스펙트로그램을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88, 295-314. 10.15734/koed..88.201108.295
  17. 박창원. 1995. 고대국어(음운) 연구 방법론 서설. 한국어와 차자표기. 서울: 태학사.
  18. 백두현. 1989. 영남 문헌어의 통시적 음운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대학원.
  19. 백두현. 1992. 경상 방언의 모음체계와 모음중화. 어문교육논집, 2, 6-88.
  20. 백두현. 1999. 영남방언의 통시적 변천. 민족문화논총, 20, 23-79. 10.2190/HNUE-DUMX-FVUQ-X7MW
  21. 소신애. 2010. 평안 방언의 실험음성학적 연구. 국어학, 58, 231-254. 10.15811/jkl.2010..58.008
  22. 신승용. 2004. ‘ㅓ’원순모음화 현상 연구: 경북방언을 대상으로. 국어학회, 44, 63-88.
  23. 신우봉, 신지영. 2012. 제주 방언 단모음에 대한 음향 음성학적 연구. 한국어학, 56, 63-90.
  24. 안미애. 2011. 대구 지역어의 모음체계에 대한 사회음성학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대학원.
  25. 이근열. 2015. 부산 방언의 특이성과 보편성. 방언학, 21, 39-66. 10.1007/s12054-014-9011-6
  26. 이상규. 1988. 방언연구방법론. 서울:형설출판사.
  27. 이현복. 1971. 현대 서울말의 모음음가. 어학연구, 7, 37-52. 10.1080/0005772X.1971.11097345
  28. 이현복. 1977. 서울말과 표준말의 음성학적 비교연구. 언어학, 2, 167-184.
  29. 이현복. 1982. 발음교실: 한국어(3); 모음 /에/와 /애/의 구별. 말소리, 4, 49-50.
  30. 이현복. 1993. 한국어의 리듬에 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말소리, 25, 52-64.
  31. 이호영. 1996. 국어음성학. 서울: 태학사.
  32. 장승두. 2005. 울산 공단 지역어의 음운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33. 장혜진, 신지영. 2007. 대구 방언 20대 화자의 단모음 실현 양상에 나타난 표준어 지향성의 성별적 차이. 한국어학, 36, 289-314.
  34. 장혜진, 신지영. 2006. 대구 방언 단모음의 세대 간 차이에 대한 음향 음성학적 연구. 말소리, 57, 15-30.
  35. 장혜진, 차재은, 신지영. 2008. 대구 방언 화자의 /ㅡ/와 /ㅓ/ 지각에 관한 연구. 한국어학, 41, 381-402.
  36. 장혜진, 신지영, 남호성. 2015. 서울 방언 단모음의 연령별 실현 양상. 음성음운형태론 연구, 21.2, 341-348. 10.17959/sppm.2015.21.2.341
  37. 정연찬. 1968. 경남 함양지역어의 음운론적 고찰. 동양학, 9. 단국대.
  38. 정일진. 1991. 경계 현상에 대한 연구: 실험음성학적인 접근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39. 조규태. 2001. 경남방언연구. 서울: 한국문화사.
  40. 최명옥. 1976. 서남경남방언의 부사화접사 ‘-아’의 음운현상. 국어학, 4, 61-82. 10.1016/0378-4363(76)90269-2
  41. 최명옥. 1979. 동남방언의 연구와 검토. 방언, 1.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42. 최명옥. 1982. 월성 지역어의 음운론. 경산: 영남대출판부.
  43. 최명옥. 1998. 한국어 방언 연구의 실제. 서울: 태학사.
  44. 최명옥. 2015. 한국어의 방언. 서울: 세창출판사.
  45. 최현정. 2011. 구어에 나타나는 모음변이 양상:부산지역의 세대별 일상대화를 중심으로. 문창어문논집, 48, 231-264.
  46. 허웅. 1990. 국어음운학. 서울: 샘문화사.
  47. Clark, J. and Yallop, C. 1992. An Introduction to Phonetics and Phonology. UK: Bloackwell.
Information
  • Publisher :The Modern Linguistic Society of Korea
  • Publisher(Ko) :한국현대언어학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Studies in Language
  • Journal Title(Ko) :언어연구
  • Volume : 38
  • No :2
  • Pages :127-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