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0 Vol.36, Issue 3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30 November 2020. pp. 349-372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difference in the intonation between North Korean defectors’ speech from Hamgyeong-do and the speech of Seoul dialect speakers in an experimental phonetic metho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eoul dialect speaker group has a wider pitch range within the same sentences than the Hamgyeong dialect speaker group. Seco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oul dialect speaker group and the Hamgyeong dialect speaker group is more significant in low-pitched sentences than in the high-pitched sentences. Third, in interrogative sentences, the Seoul dialect speaker group tends to speak in a rising tone. In contrast, the Hamgyeong dialect speaker group tends to speak in a horizontal tone. The three-way analysis of variance confirmed the group’s main effects in 4 out of 5 items in both the declarative and the interrogative sentences and the interaction effects.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oups X genders and groups X sentence types.
References
  1. 강순경. 1997. 함경 방언의 모음 체계. 『어학연구』 33, 117-135. 10.1016/S0932-4739(97)80027-2
  2. 곽숙영. 2010. 한국어의 발화 길이 및 절 경계와 초점에 의한 점진하강(declination) 연구. 『말소리와 음성과학』 2, 11-22.
  3. 곽충구. 2018. 동북방언과 국어국문학. 『개신어문연구』 43, 5-42. 10.1016/S0262-1762(18)30259-1
  4. 권순희. 2014.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교육을 위한 교재 개발 현황.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 561-589.
  5. 김다미, 김신희, 김지성, 안은솔, 조용운, 양윤희, 임동선. 2019. 북한이탈주민의 문장 읽기 억양 특성 – 음도범위와 청지각적 평가를 중심으로. 『음성과학』 11, 9-21. 10.13064/KSSS.2019.11.3.009
  6. 김봉국. 2004. 함북 육진방언의 복합성조. 『국어교육』 113, 525-542.
  7. 김석향. 2005. 남북한 언어 이질화 정도에 대한 집단별 인식의 차이 고찰. 『현대북한연구』 8, 85-124.
  8. 김영만. 1974. 국어 운율의 본질과 변천-함경·경상·전라·서울의 액센트와 중세국어의 성조의 비교적 고찰-. 『국어국문학』 65.66, 29-51.
  9. 김태희. 2010. 시각적 피드백을 이용한 담화상화에서의 언어중재가 북한이탈주민의 발화에 미치는 영향. 나사렛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남북하나재단. https://www.koreahana.or.kr.
  11. 박기영. 2009.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종결어미의 억양 교육 방안-특히 양태 의미에 따른 억양 차이를 중심으로-. 『우리어문연구』 34, 373-397.
  12. 박진혁. 2018. 함경 방언의 성조-음고의 유형론을 중심으로-. 『방언학』 28, 5-38.
  13. 배준영. 2011. 대구지역 새터민의 언어적응 양상 연구-음운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서초슬. 2009. 서울지역과 대구지역 방언의 억양 대조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양수경, 권순희. 2007. 새터민 면담을 통한 남북한 화법 차이 고찰. 『국어교육학연구』 28, 459-484.
  16. 왕영준. 2016. 경상도 방언이 한국어 억양 습득에 미치는 영향-의문문의 문말 억양을 중심으로-. 『시학과 언어학』 32, 50-71.
  17. 이상규. 2003. 『국어방언학』. 서울: 학연사.
  18. 이현복. 1987. 억양과 국어 생활. 『국어생활』 10, 41-49. 10.1353/mis.1987.0003
  19. 이현복. 1995. 남북한 음성언어의 실험음성학적 연구. 『말소리』 29, 61-94.
  20. 이호영. 1991. 한국어의 억양체계. 『언어학』 13, 129-151. 10.1016/0141-6359(91)90565-Z
  21. 이호영. 1993. 서울말과 경상도 방언의 운율유형론. 『언어학』 15, 353-382. 10.1006/uimg.1993.1023
  22. 이호영. 1996. 『국어 음성학』. 서울: 태학사.
  23. 이호영, 국립국어원. 2009. 새터민 언어 적응 훈련 프로그램 개발 연구. 국립국어원[편] 1-70.
  24. 이홍식. 2007. 새터민의 언어에 대한 연구. 『사회언어학』 15, 141-161.
  25. 전학석. 1994. 함경도 방언의 음조에 대하여. 『한글』 224, 95-108. 10.1080/04597239408460986
  26. 정순미. 2010. 북한이탈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을 위한 남한 청소년의 역할. 『윤리교육연구』 22, 301-320.
  27. 정은혜. 2011. 현대 육진 방언 자모음에 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정중석. 2001. 북한의 지방행정 체제에 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최미영. 2013. 새터민 성인의 문장읽기 억양 특성.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통일부. https://www.unikorea.go.kr.
  31. 허웅. 1985. 『국어 음운학』. 서울: 샘문화사.
  32. Robert Ramsey, S. 1974. 咸鏡 慶尙 兩方言의 액센트 硏究. 『국어학』 2, 105-132.
  33. Jun, S. 2000. K-ToBI(Korean ToBI) Lablelling Conversations: Version 3.1. Phonetics 99, 149-173.
  34. Lee, O. 2019. Global Pitch Characteristics of Tonal and Non-Tonal Language Speakers: Evidence from Mandarin-Korean Bilinguals. Chinese Literature 98, 267-302. 10.21192/scll.98..201902.013
Information
  • Publisher :The Modern Linguistic Society of Korea
  • Publisher(Ko) :한국현대언어학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Studies in Language
  • Journal Title(Ko) :언어연구
  • Volume : 36
  • No :3
  • Pages :349-3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