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rticle
Abstract
References
Information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the ‘kathta’ construction through practical examples, focusing on the epistemic modality of the ‘haoxiang’ construction in Chinese. Specifically, the lexical meanings of ‘kathta’ and ‘haoxiang’ undergo a process of meaning semantic abstraction and become grammaticalized as expressions of epistemic modality, conveying a sense of speculation. However, in terms of syntactic characteristics, ‘kathta’ can be divided into cases where it takes an external argument and cases where it does not. In the former case, it retains its descriptive nature as a psychological adjective, relating to the subject’s speculation, while in the latter, it is grammaticalized as an epistemic modal, reflecting the speaker’s speculation. On the other hand, ‘haoxiang’ is fully grammaticalized as an epistemic modal, expressing only the speaker’s speculation. Therefore, this study distinguishes between the speaker’s speculation and the subject’s speculation, interpreting the syntactic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constructions through their respective syntactic structures.
- 구종남. 2012. 국어 부정극어의 허가 영역과 통사 구조의 해석. 어문연구, 72, 5-34.
- 김건희. 2003. 심리 형용사 연구. 언어학, 37, 47-70.
- 김건희. 2007. ‘N 같다’, ‘N같다’에 대한 연구 - 합성어로서 사전에 등재해야 하는 ‘N같다’ 판별을 중심으로. 국어학, 50, 149-180. 10.15811/jkl.2007..50.006
- 김선혜. 2019. 한국어의 우언적 구성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 김선혜. 2021. ‘-ㄴ/ㄹ 것 같다’ 구문에 쓰인 ‘같다’에 대한 연구. 한민족어문학, 91, 9-34. 10.31821/HEM.91.1
- 김용하, 엄홍준. 2010. PRO에 대한 이동 분석과 한국어의 주어 올리기 구문. 현대문법연구, 60, 21-36.
- 김지은. 1998. 우리말 양태용언 구문 연구. 서울: 한국문화사.
- 김창섭. 2012. ‘같다’ 의미와 기본 구문. 진단학보, 116, 217-239.
- 박소영. 2022. ‘-을 수 있다’ 양태구문의 통사구조와 부정극어 인허. 생성문법연구, 32, 75-96.
- 박승윤. 1998. 형식명사 술어 구문의 문법화 현상. 담화와 인지, 5, 41-56. 10.1241/johokanri.41.56
- 박양규. 1975. 존칭체언의 통사론적 특징. 진단학보, 40, 81-108. 10.2307/3960613
- 박양규. 1980. 주어의 생략에 대하여. 국어학, 9, 1-25.
- 박재연. 1999. 종결어미와 보조용언의 통합 구문에 대한 재검토. 관악어문연구, 24, 155-182.
- 박재연. 2006. 한국어 양태 어미 연구. 파주: 태학사.
- 박재연. 2003. 국어 양태의 화, 청자 지향성과 주어 지향성. 국어학, 41, 249-277. 10.1007/BF03058251
- 박재연. 2012. 인용 동사의 의미론적 분류 방법. 한국어 의미학, 39, 205-229.
- 손혜옥. 2016. 한국어 양태 범주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 안주호. 2004. 한국어 추측 표현의 통사, 의미 연구. 새국어교육, 68, 97-121.
- 안주호. 2007. 용언 ‘같-’ 구문의 공시성과 통시성. 새국어교육, 77, 441-446. 10.1016/S0093-3619(08)70699-3
- 엄정호. 1990. 종결어미와 보조동사의 통합구문에 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 엄홍준. 2010a. 한국어에서의 논항 이동과 pro. 현대문법연구, 59, 67-88.
- 엄홍준. 2010b. 재현성과 복사 인상. 언어학, 18, 109-124. 10.24303/lakdoi.2010.18.4.109
- 엄홍준, 김용하. 2009. 주어 인상 구문과 예외적인 격 표시 구문에 대한 비교언어학적 고찰. 언어, 34, 583-602. 10.18855/lisoko.2009.34.3.006
- 오규환. 2008. ‘같-’의 활용형의 문법화와 관련된 몇 문제. 형태론, 10.2, 353-372. 10.15798/kaici.10.4.200812.353
- 유현경. 1998. 한국어 형용사 연구. 서울: 한국문학사.
- 이근용. 2007. ‘같다’의 통사와 의미. 어문학논총, 26, 113-123. 10.12681/grsr.149
- 임동훈. 2003. 국어 양태 체계의 정립을 위하여, 한국어 의미학, 12,127-153.
- 임동훈. 2009. ‘-을’의 문법 범주. 한국어학, 44, 55-81. 10.58680/rte20099185
- 임홍빈. 1985. ‘-시-’와 경험주 상정의 시점. 국어학, 14, 287-336. 10.1016/0378-7753(85)80052-5
- 장경희. 2018. 관형사형 어미에 따른 한국어 추측 표현 ‘-을 것 같다’의 중국어 대응표현 연구. 한중인문학연구, 59, 219-244. 10.26528/kochih.2018.59.219
- 전나영. 1999. ‘-나 보다/-모양이다/-것 같다/-ㄹ 것이다/-겠다’의 의미기능. 말, 23, 169-198.
- 정미홍. 2020. 한 중 인식양태 표현과 양태 부사의 결합 양상 대조. 한남어문학, 41, 5-21.
- 차현실. 1986. 양상술어(modal predicate)의 통사와 의미 - 미확인 양상술어를 중심으로. 이화어문논집, 8, 11-34.
- 최진선. 2016. 한국어의 주어 인상에 관한 실험적 연구. 언어연구, 32, 161-178. 10.18627/jslg.32.1.201605.161
- 최진선. 2017. 한국어의 주어 인상 구문 ‘―것 같다’: 존대 일치 현상에 관한 수용성 판단을 중심으로. 언어학, 25, 143-160. 10.24303/lakdoi.2017.25.2.143
- 曹逢甫. 1996. 汉语的提升动词. 中国语文, 3, 172-182.
- 丁声树, 吕叔湘, 李荣. 1961. 现代汉语语法讲话. 商务印书馆.
- 韩蕾. 1998. 谈表比较的“连”字句, 徐州师范大学学报, 1, 162-164.
- 何元建. 2010. 现代汉语生成语法, 北京大学出版社.
- 吕叔湘. 1999. 现代汉语八百词(증정본), 商务印书馆.
- 李成才. 1991. “ 跟……一样” 用法浅谈, 语言教学与研究, 2, 111-122.
- 李小军. 2014. 相似、比拟、推测、否定——“似乎”“仿佛”的多维分析, 汉语学习, 2, 3-13.
- 陆俭明, 沈 阳. 2003. 汉语和汉语研究十五讲, 北京大学出版社.
- 唐依力. 2016. “好像”的多功能与形式的匹配分析, 理论月刊, 9, 73-77.
- 颜刚. 2018. 情态副词“好像”与“似乎”的比较研究, 绥化学院学报, 8, 82-86.
- 杨仪. 2021. “N1+ 像+N2+ 比况助词+A”的比喻和比较用法分析, 汉字文化, 9, 70-74.
- 叶琼. 2016. “好像”的不确定判断义解读, 汉语学习, 3, 103-112.
- 张璐. 2011. 浅析“好像”的语法化, 语文学刊, 16, 45-46.
- 张谊生. 2000. 论与汉语副词相关的虚化机制——兼论现代汉语副词的性质、分类与范围, 中国语文, 1, 3-15.
- 朱建军, 唐依力. 2017. “好像”的历时考察及其最新发展, 华东师范大学学报, 5, 159-164.
- Cinque, G. 1999. Adverbs and Functional Heads: A Cross-Linguistic Perspectiv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0.1093/oso/9780195115260.001.0001 PMC1736681
- Coates, J. 1983. The semantics of the modal auxiliaries. London: Croom Helm; Amsterdam: John Benjamins.
- Lyons, J. 1977. Semantics 2.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Palmer, F. 2001. Mood and Modalit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1017/CBO9781139167178
- Publisher :The Modern Linguistic Society of Korea
- Publisher(Ko) :한국현대언어학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Studies in Language
- Journal Title(Ko) :언어연구
- Volume : 40
- No :4
- Pages :461-483
- DOI :https://doi.org/10.18627/jslg.40.4.202502.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