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0 Vol.36, Issue 3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30 November 2020. pp. 285-296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rrors in the consonants of Korean sounds of Korean-Chinese children around the school age, and to identify how the errors in consonant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influenced by the phonological system of the Chinese language, the mother language of Chinese mothers. As a result, Korean children show fewer stop consonants than multicultural children, and 7-year-old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show more stop consonants than 9-year-old multicultural children. Furthermore, it was found to be correlated with Chinese mothers' proficiency in Korean. In other words, the lower the Chinese mother's proficiency in Korean, the higher the error in the stop consonant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ave difficulty discriminating and pronouncing the stop sounds.
References
  1. 고도흥 외. 1999. 『음성 언어의 이해』. 서울: 한신문화사.
  2. 김민정, 배소영. 2000. 정상 아동과 기능적 음운장애 아동의 음운 오류 비교 : 자음 정확도와 발달 유형을 중심으로.. 『음성과학』 7, 7-18.
  3. 김민정, 배소영. 2005. 아동용 조음검사를 이용한 연령별 자음 정확도와 우리말 자음의 습득 연령, 『음성과학』 12, 139-149.
  4. 김수진, 신지영. 2007. 조음음운장애. 서울: 시그마프레스.
  5. 김수진, 이수향. 2011. 음운장애 평가를 위한 한국어 말소리 검사 비교. 『특수교육』 10, 343-359.
  6. 김영란, 김영태. 2011. 취학전 저소득층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 『언어치료연구』 20, 73-88. 10.15724/jslhd.2011.20.3.005
  7. 김영태, 오소정. 2013. 언어결핍환경 아동의 어휘 발달 특성. 『언어치료연구』 22. 17-39. 10.15724/jslhd.2013.22.4.002
  8. 김태경, 백경미. 2010. 학령전 아동의 발음 오류에 관한 연구. 『국제어문』 49, 7-34.
  9. 김현자, 조증열. 2001. 학령전 아동에서 음운인식, 시각지각 및 한글 읽기와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4, 15-28.
  10. 박남수. 2007. 초등학교 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천. 『사회과교육연구』 14, 213-232.
  11. 박지윤. 2011. 중도입국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통역 보조교사제에 대한 제언. 『이화어문논집』 29, 103-125.
  12. 박지윤. 2020. 중국계 다문화가정 아동의 한국어 설측음의 권설음화 조음 현상 연구. 『문화와 융합』 42, 261-282.
  13. 박창원. 2014. 다문화 사회를 위한 통합과 공존의 조화. 『이화어문논집』 34, 5-36.
  14. 박향아. 2000. 아동의 음운인식 발달. 『한국아동학회』 21, 35-44. 10.1023/A:1006648603008
  15. 배소영, 김미배. 2010. 초등 저학년 다문화가정 아동의 읽기와 언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5, 146-156.
  16. 여성가족부. 2014.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서울: 여성가족부.
  17. 오성배. 2005. 코시안(Kosian) 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아동학회지』 32, 61-83.
  18. 오성배. 2007. 국제결혼 가정 자녀의 교육기회 실태와 대안 모색. 『인간연구』 12, 1-15.
  19. 오소정 ․ 김영태. 2014. 학령기 다문화가정 언어장애 아동의 어휘지식 및 구어처리 과제 수행 특성. 『언어치료연구』 23, 55-88. 10.15724/jslhd.2014.23.1.004
  20. 오소정 외. 2009. 서울 및 경기지역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특성과 관련변인에 대한 기초 연구. 『특수교육』 8, 137-161.
  21. 오소정 외. 2012. 화용능력 체크리스트 문항 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 『언어치료연구』 21, 111-135. 10.15724/jslhd.2012.21.2.007
  22. 우현경 외. 2009.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과 유아기 자녀의 언어발달. 『아동학회지』 30, 23-36.
  23. 이경희 ․ 정명숙. 2000. 한국어 파열음의 음향적 특성과 지각 단서. 『음성과학』 7, 151-167.
  24. 이은경 ․ 오성숙. 2012. 어머니의 언어사용 환경에 따른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양상. 『열린유아교육연구』 17, 177-205.
  25. 최성보. 2011.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 탐색. 『다문화교육연구』 4, 105-130.
  26. Ingram, D. 1974. Phonological Rules in Young Children. Journal of Child Language 1, 49-64. 10.1017/S0305000900000076
  27. Jakobson, R., 1968. Child Language, Alphasia, and Phonological Universals. Mouton. The Huge. 10.1515/9783111353562
  28. Lisker, L. and Abramson, A. S. 1964. A Cross-Language Study of Voicing in Initial Stop : Acoustical Measurements. Word 20, 384-422. 10.1080/00437956.1964.11659830
Information
  • Publisher :The Modern Linguistic Society of Korea
  • Publisher(Ko) :한국현대언어학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Studies in Language
  • Journal Title(Ko) :언어연구
  • Volume : 36
  • No :3
  • Pages :285-2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