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1 Vol.37, Issue 2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31 August 2021. pp. 161-179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es of reflection structures that the university students perceive in reflection writing and to expand their reflection structure experiences to “self” → to “others” → to “social and world” through flipped learning teaching methods. With the rapid transition to the online educational environment in the post pandemic era, students must consider extending their reflection structure awareness in the online environment. The reflection structure is efficient to expand the reflection structure extensions in a way of sharing among students. To this end, flipped learning and application evernote was utilized. It is meaningful that the research mainly focused on research such as reflection writing teaching methods, necessity, and utility, analyzed the reflection structure recognized by the university students and expanded awareness through reflection structure sharing in an online education environment.
References
  1. 강민정. 2016. “자기 성찰적 글쓰기”의 효과적 교육 방안 연구. 『우리어문연구』 54, 413-457.
  2. 김경애. 2016. 플립러닝과 전략적 텍스트를 활용한 이공계 글쓰기 교육 방법모색. 『공학교육연구』 19.1, 21-30. 10.18108/jeer.2016.19.1.21
  3. 김남규 외. 2017. 텍스트 분석 기술 및 활용 동향. 『한국통신학회논문지』 42.2, 471-492. 10.7840/kics.2017.42.2.471
  4. 김미란. 2009. 대학의 글쓰기 교육과 장르 선정의 문제. 『작문연구』 9, 69-94.
  5. 김승종. 2004. 전통적 글쓰기와 디지털 시대의 글쓰기. 『국어문학』 39, 5-28.
  6. 김영희. 2010. ‘자기 탐색’ 글쓰기의 효과와 의의 : 대학 신입생 글쓰기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작문연구』 11, 45-109.
  7. 김애령. 2017. 디지털 매체 시대의 읽기와 해석학의 과제. 『현대유럽철학연구』 45, 173-200.
  8. 김은정. 2018. 플립러닝을 활용한 글쓰기 교육 사례와 제언.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6, 485-492.
  9. 김정숙, 백윤경. 2017. 대학 글쓰기 교재의 현황과 발전적 방향 : 거점국립대학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56.1, 83-116.
  10. 김춘규. 2014. 자기 성찰적 글쓰기 방안 모색 연구. 『어문학』 125, 49-69.
  11. 김현정. 2020. 자아성찰에세이를 통해 살펴본 대학생의 글쓰기 인식과 글쓰기 교육의 시사점. 『리터러시연구』 11.3, 161-191. 10.37736/kjlr.2020.06.11.3.05
  12. 나은미. 2009.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자서전과 자기소개서 쓰기 연계 교육 방안. 『화법연구』 14, 113-140.
  13. 노형남. 2014. 워드 클라우드에 의한 환대 경영 전략. 『관광연구』 29.4, 335-353.
  14. 민춘기. 2017. 디지털 글쓰기의 수업 계획 시안 및 대학생의 인식 분석. 『교양교육연구』 11.1, 131-172.
  15. 박용익. 2008. 대학 글쓰기 교육과 생활서사. 『텍스트언어학』 24, 129-142.
  16. 박지윤. 2021. 다문화가정 학생의 다문화 감수성 증진을 위한 글쓰기 연계 교육 사례 : 학령기 다문화 영재와 비영재를 중심으로. 『영재와 영재교육』 20.1, 69-95.
  17. 박해랑. 2017. 성찰적 글쓰기를 통한 글쓰기 교육 효과 연구. 『문화와 융합』 39.5, 631-666.
  18. 박호관. 2014. 자아 성찰적 글쓰기의 교육 내용과 교수학습 사례 분석. 『우리말글』 63, 69-101.
  19. 신선희. 2018. 디지털 기반 글쓰기 교육의 방향 탐색. 『청람어문교육』 65, 185-209. 10.26589/jockle..65.201803.185
  20. 신지수. 2005. 『자아성찰적 글쓰기가 여중생의 자아개념과 성격유형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오태호. 2012. 자기 성찰적 글쓰기의 이론과 실제. 『우리어문연구』 43, 65-99.
  22. 이숙정 외. 2014. 교실수업에서 ‘자기 서사적 글쓰기’가 대학생의 신뢰성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교양교육연구』 8.2, 271-297.
  23. 이양숙. 2011. 자기서사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의 필요성과 방법에 대한 연구.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50, 169-189.
  24. 이은영 외. 2019. 워드 클라우드 기법을 이용한 최근 소비자학 연구 트렌드 분석. 『상품학연구』 37, 1-7. 10.36345/kacst.2019.37.1.001
  25. 정기철. 2007. 디지털 시대의 글쓰기, 글쓰기 교육. 『한남어문학』 31, 169-192.
  26. 정연희. 2013. 교양교육으로서의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자기 성찰적 글쓰기의 의미. 『어문논집』 69, 59-84.
  27. 존 버그만, 애론 샘즈. 2015. 정찬필, 임성희 역. 『거꾸로교실』. 에듀니티.
  28. 차하순. 2016. 사상사란 무엇인가. 『한국사상사학』 52, 1-38. 10.1042/BIO03806052
  29. 최규수. 2005. 대학 작문에서 자기를 소개하는 글쓰기의 현실적 위상과 전망. 『문학교육학』 18, 563-585.
  30. 최숙기. 2007. 자기 표현적 글쓰기(expressive writing)의 교육적 함의. 『작문연구』 5, 200-239.
  31. 한래희. 2014. 자아 이미지와 서사적 정체성 개념을 활용한 자기 성찰적 글쓰기 교육 연구. 『작문연구』 20, 335-378.
  32. 홍순성. 2018. 『에버노트 사용서명서』. 영진닷컴.
  33. 황정현. 2011. 『자기성찰의 사회과교육적 실천 방안』.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Heimerl, Lohmann, Lange, and Ertl. 2014. Word cloud explorer: Text analytics based on word clouds. 2014 47th Hawai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 Sciences, 1833-1842. 10.1109/HICSS.2014.231
Information
  • Publisher :The Modern Linguistic Society of Korea
  • Publisher(Ko) :한국현대언어학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Studies in Language
  • Journal Title(Ko) :언어연구
  • Volume : 37
  • No :2
  • Pages :161-179